본문 바로가기
예술경영학

공연장의 구조와 무대인력

by 코코쿠쿠쿠 2022. 9. 24.
반응형

공연장의 구조와 무대인력

 

공연장의 구조와 무대인력

공연장은 크게 2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관객들이 이용하는 객석 공간과 예술가들과 무대 스태프들이 이용하는 무대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공간이 어떻게 분리되었는지에 따라 무대구조가 달라지고 공연 형식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무대 공간은 스테이지와 백스테이지로 나뉘고 객석 공간은 FOH(Front od House)로 부른다. 무대는 공연예술이 실연되는 공간으로 관객에게 보이는 무대 이외에도 보이지 않는 공간이 많다. 무대 천정에는 조명과 배경막 등이 달려 있고 무대 양 옆에는 예술가들과 무대장치가 대기하고 있는 공간이 있으며 바닥에는 회전무대 등 다양한 무대장비와 시설 구조물이 관객들에게 최고의 공연을 보여주기 위해 숨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안전사고에 대비하여야 한다. 백스테이지는 공연 준비와 진행을 위해서 가장 분주한 공간으로 출연자와 스태프가 주로 이용하고 대기하는 공간이다. 각종 소도구와 무대장치, 의상 등이 무대 등장을 위해 준비하는 공간이다. 공연 중에 가장 긴박한 공간이고 많은 사람들이 다니기 때문에 특히 소음에 신경 써야 한다. 또한 대기실과 무대 사무실, 각종 설비공간이 있는 곳이다.

프로시니엄 무대(Proscenium stage) -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연장이 갖추고 있는데 관객들이 무대 위를 큰 사진틀을 통해 보는 무대로 '액자 무대'나 '사진틀 무대'라고도 불린다. 객석과 무대가 프로시니엄 아치를 통해 한 면에서 만나서 투명한 유리벽을 통해 한 면만 보이는 방을 보는 구조의 무대이다. 프로시니엄 무대의 장점은 무대장치, 소품, 출연진들을 관객의 눈에 띄지 않게 숨겨둘 수 있어 관객들을 무대에 몰입하게 할 수 있다. 단점은 무대와 관객 사이를 분리시켜 거리감을 조성하고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극장은 국립중앙극장과 세종문화회관 등 대부분의 공연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대 형태이다.

원형 무대(Arena stage) - 중앙에 무대가 있고 객석이 무대를 둘러싸고 있는 무대이다. 권투 경기장과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무대가 객석보다 높이 있는 경우도 있고 무대가 바닥에 있고 객석 뒷부분이 점차 올라가는 형태도 있다. 원형 무대는 관객과 무대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활용하는데 우리나라 마당놀이가 이러한 무대를 사용하고 있다. 장점으로는 학교 강당이나 운동장, 실내체육관 등에서 손쉽게 원형 무대를 만들 수 있고 관객과 배우 사이에 자유로운 교감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무대 전체가 관객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배우나 무대 소품 등의 등, 퇴장이 자유롭지 않고, 조명이나 무대장치, 소품 사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무대의 시각적인 효과에 제약이 있다.

돌출 무대 - T자형 무대(Thrust stage) - 무대가 T자형으로 가운데가 돌출된 무대로 대중음악 공연장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관객과의 거리감을 최소화하고 관객이 좀 더 공연에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무대이다. 일반적으로 패션쇼에서 이러한 무대 구조를 많이 쓰는데 공연에서는 돌출된 부분에 조명이나 무대장치 효과에 한계가 있다.

야외공연장(Amphi theater, open air theater) - 조명과 영상 그리고 음향시스템의 발전으로 점차 야외공연이 많아지고 있다. 날씨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중히 고려해야 하는데 특히 장마나 태풍이 오는 시기는 피하여야 하고 조명과 영상이 중요한 공연에서는 낮 공연보다 저녁 공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객석이 없기 때문에 이동용 의자를 활용하여야 하고 악기나 각종 장비들이 갑작스러운 날씨에 피해가 없도록 대비를 하여야 한다. 비가 올 경우는 물에 젖지 않도록 넓은 비닐과 바람을 대비한 장치 등을 준비하여야 한다. 음향 콘솔을 객석 중간 뒤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공연예술 무대 - 무대 세트 제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은 전체적인 조화와 관객들의 느끼는 안정적 구도이다. 배우들의 의상, 무대조명, 무대장치, 막 등의 색과 배치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안정적이어야 관객들이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다. 무대 디자이너는 무대 디자인을 할 경우 영상과 조명, 의상 그리고 무대 세트의 색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음향의 스피커 위치와 조명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무대 세트를 디자인하여야 한다. 연출자와 음향, 조명, 영상, 의상 디자이너들과 충분한 의견 교류가 있어야 하고 무대 세트의 디자인을 위해서는 무대 사이즈의 실측을 정확히 해야 한다.

무대인력은 공연장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대부분의 공연장에서는 기본적인 무대인력이 있는데 무대감독, 기술, 음향, 조명, 영상 등의 전문인력이 상주하여 공연을 진행하지만 연극, 무용, 발레, 뮤지컬, 오페라 등의 공연을 제작할 경우에는 한 작품만을 전담할 수 있는 무대 스태프들이 필요하고 클래식 음악회보다는 다양한 인력들이 참여하게 된다.

무대 감독(stage manager) - 연출가의 최종 연습 이후 실제로 공연에서 무대의 진행을 맡아 책임지고 운영한다. 조명, 음향, 무대장치, 무대 전환 등 모든 공연 진행팀에게 큐(Cue)를 주고 공연을 이끌어간다. 따라서 모든 제작회의와 연습과정에 함께 참여하여 공연 진행의 전체적인 사항을 파악하여야 한다.

기술감독(Technical manager) - 공연에 필요한 기술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감독으로 무대장치, 조명, 음향, 특수효과 등의 기술적인 측면과 공연 장치 설치 및 공연 운영 그리고 철거 시에 나타나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진다.

무대 디자이너(Scenery designer) - 무대 세트와 무대막 등의 디자인을 담당하는 디자이너로 연출가와 작품에 대한 협의를 하고 대본을 통해 필요한 세트와 대도구 등을 디자인하고 관련 스케치와 도면을 그려 무대제작을 진행한다.

무대제작 - 무대 디자이너와 협의하여 무대 세트와 대도구 그리고 무대막 등을 제작한다. 무대 디자이너와의 호흡이 중요하고 연출가의 의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무대를 제작할 경우 재공연이 가능하도록 제작하고 무대 세트의 보관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의상 디자이너(Costume designer) - 공연에 필요한 의상을 디자인하고 제작, 수정, 보관을 담당하게 된다. 공연 전 대본과 무대 디자인 등을 참고하여 의상 콘셉트와 제작 벌 수가 정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디자인과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공연 진행 시 의상 보조가 필요한 경우 의상 제작실에서 지원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작화가(Scene painter) - 무대 세트의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는 무대 배경막을 제작할 때 무대막을 전문으로 그리는 사람이다. 무대 세트 혹은 장치에 기본색을 칠하거나 배경막으로 사용되는 작화 막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무대장치 담당 - 무대 세트를 공연장에 설치 및 철거를 하고 공연 진행에서 무대장치들을 전환하고 수정, 보완의 역할을 담당한다.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공연 진행 기간 동안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품 담당(Property master) - 공연에 필요한 소도구, 즉 소품을 제작하고 관리하는 역할이다. 시대와 상황에 맞는 소품 제작을 위해 제작진과 충분히 협의하여야 하고 특히 배우들이 익숙하게 다루어야 하는 서품은 미리 제작하여 연습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분장사(Make-up artist) - 공연의 의상, 배경, 캐릭터에 맞는 분장과 가발을 디자인한다. 작은 규모의 공연일 경우 배우들이 직접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분장팀이 공연 의도에 맞게 구상하여 분장을 담당한다.

음향 - 음향 디자이너와 음향감독 그리고 음향 오퍼레이터가 있는데 음향 디자이너가 계획한 음향을 오페레이터는 음향콘솔을 통해 실현하는 작업을 하고 음향감독은 이를 관리 감독하게 된다. 음향 디자이너는 음향적인 전체의 실행과 관리, 운영을 책임지게 된다.

조명 - 조명 디자이너는 공연에 필요한 조명을 디자인하고 조명작업의 실행과 관리 그리고 운여에 책임을 지게 된다. 조명 오퍼레이터는 공연에 필요한 조명기를 달고 위치 조정을 하며 포그머신도 조작하게 된다. 조명감독은 디자인된 조명의 계획들을 실현하는 작업 전체를 관리 감독한다.

반응형

'예술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보  (0) 2022.09.24
공연기획서 작성  (0) 2022.09.24
우리나라 문화예술조직  (0) 2022.09.23
공연기획 타당성 및 점검사항  (0) 2022.09.23
공연예술 기획  (0) 2022.09.23

댓글